섬유무역 노하우

<섬유 무역> 'CMT 거래조건'에 대해서 알아보자

Sheldon's 2023. 3. 10. 11:06
반응형

안녕하세요 Sheldon 입니다.

섬유 무역 포스팅은 매주 금요일 update됩니다.

Let's get started!


우리 근처에 있는 의류 매장에 가게 되면 수 많은 옷들이 새로운 시즌에 맞춰 출시되고 판매를 하고 있는데, 이 수많은 옷들은 어디서 오는걸까요?

의류 매장이 있다는 것은 대부분 브랜드가 있을것이고, 이 브랜드를 가지고 있는 회사는 소비자에게 옷을 팔기 위해 의류를 제작 합니다.

그런데 의류를 제작한다는것이 생각보다 많은 설비와 노동이 필요하기 때문에 내가 '브랜드에 대한 디자인 이해도' '판매에 대한 전략'등 하나의 브랜드를 창출하고 운용할 능력이 있어도 막상 상품 자체를 만드는것(생산하는것)은 쉽지 않습니다.

어느정도 설비와 조건이 맞는곳은 자체적으로 상품 자체를 만들기도 하지만 흔치 않는 경우이고,(우리나라에는 대표적으로 신성통상의 탑텐이 생각 납니다. 라벨을 보면 수입자와 판매자 모두 신성통상으로 되어 있습니다.-물론 신성통상에서 생산을 하지 않더라도 무역조건을 바꾸면 이렇게 표기할수도 있지만 제가 알기로는 직접 생산/유통까지 하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은 브랜드에서 설비를 갖춘곳(Vendor)에게 OEM(주문생산방식) 방식으로 주문을 진행을 합니다.

그러면은 Brand를 가진 Buyer가 Vendor에게 Order를 주고, 이 오더를 합의된 품질로 약속한 기한까지 납품을 하는것이 기본 구조인데, 이러한 구조에서 거래방식에 따라 여러가지 거래 방식이 있고 그중에 CMT라는 거래방식이 존재 합니다.


본격적으로 CMT를 알아 보기 전에 각 철자가 가지고 있는 단어의 힘을 먼저 알아야 합니다.

C : Cutting

M : Making

P : Packing

T : Trimming

H : Handling

보통 의류쪽에는 위의 5개의 단어를 줄여서 많이 사용 합니다.

CM : Cutting / Making , 즉 재단과 봉제에 관련된 비용을 말합니다.

재단,봉제라고 하였지만 실제로는 옷을 만드는데 필요한 전체적인 공임을 말하는 것으로 통용 됩니다.

PH : Packing & Handling 이라고 하여, 각종 물류제반비용이나, 창고 완성자재비용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아무튼 오늘 이야기할 CMT는 Cutting / Making / Trimming 으로써 말 그대로 재단/봉제/부자재 작업을 한다는 내용 입니다. 그렇다면 어떤게 빠져 있을까요? 바로 Fabric 원자재가 빠져 있습니다.

(Triming을 간혹 마무리 작업 마감 작업 등으로 오역하고, 부자재는 주문자 공급이라고 설명하는 곳이 더러 있는데 잘못된 정보 입니다. 제가 늘 강조하는 정확한 정보를 주는 블로그를 찾는것도 중요합니다. - 그에 대한 근거로 맨 아래 뉴스 기사 링크를 첨부 합니다.)

예상하신대로 CMT는 원자재가 빠져있는 거래 방식 입니다. 바꿔 말하면 원자재는 Brand(Buyer)에서 공급을 하고, Vendor 는 그걸 받아 생산을 하는 거래방식을 CMT거래 방식이라고 합니다.

그러면 당연히 원자재에 대한 대금 결제는 Brand에서 진행이 되겠고, Vendor는 원자재 대금을 제외한 나머지 금액에 대해서만 지불하면 됩니다.


자~ 이제 우리는 CMT가 어떤 거래방식을 말하는지는 알아보았습니다.

그렇다면 장/단점은 무엇일까요?

장,단점이 워낙 뚜렸해서 장점과 단점을 따로 모으지 않고 각각 상대적으로 나열을 해보겠습니다.

벤더 입장에서

장점 : 원단에 대해 관리할 인력이 필요가 없다.

지정된 원단을 받아 사용하므로 불량등에 대해 책임질 필요가 없다.

생산 원가가 절감된다.

단점 : 원단에 대한 매출을 발생되지 않아 똑같은 일을 해도 매출이 작은것처럼 보여 실적에 불리하다.

원단에 들어가는 handling charge가 빠지게 되므로 실제 손익 금액이 줄어든다.

직접 핸들링 하지 않기 때문에 사소한 문제나, 추가등의 부수적인 업무 follow up 이 어렵다.

브랜드 입장에서

장점 :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제기하는 여러가지 화살을 피할 수 있다.

(깊이 설명하면 복잡하나, 아무튼 현재 브랜드가 원단을 정하고 이 정해진 원단을 벤더에서 구매를 하고, 벤더에서 대금을 지불하는것이 공정거래법 위반 이라고 합니다. - 국내원단의 경우만 해당 입니다. 저도 이번에 관련 업무를 하면서 알게 된 사실 입니다.)

단점 : 원단에 대한 관리 인력이 별도로 필요하다.

원단의 재고 위험성을 가지고 간다.

원단의 품질을 책임지고 관리해야 한다.

현금 흐름이 좋아야 한다(원단 대금이 먼저 지급됨)

우선 제가 그냥 머리속에 생각나는대로 장/단점을 적어 보았습니다.

위 내용을 적고 서핑을 하다가 흥미로운 기사를 하나 발견했습니다. 이 기사를 보면 각자 CMT에 대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볼 수 있을것 같네요.

요즘은 유튜브도 쇼츠만 보는 시대라서 포스팅도 너무 길면 잘 안보게 되더라구요, 가능한 짧게 오늘의 주제인 CMT관련 내용은 이쯤에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더 궁금한 내역은 댓글로 알려주세요~


유튜브 채널을 구독하면, 더 많은 강의와 상세한 설명 무료 전자책을 보실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링크

https://www.youtube.com/channel/UCoItBEmOuM_MS35Tsd7wmCA?sub_confirmation=1

모두에게 유익한 시간이었기를 바랍니다.

저는 제가 직접 포스팅하는 내용만 올립니다. 이웃추가 하시고 소식 먼저 받아보세요.

'무역 실무서' 관련 전자책 ,강의 구매 및 기업 또는 개인 실무 강의 진행 합니다.

크몽 : https://kmong.com/self-marketing/239364/80nAhOgqc5

무역실무 강의 13’ 미리보기 : https://youtu.be/nSgj_cdwD2c (Full version 1H45M)

'English Business email 작성법' 전자책 , 강의 구매 가능 합니다.

크몽 : https://kmong.com/self-marketing/277071/WfKL3WPxWx

강의 13’ 미리보기 : https://youtu.be/zINDqi-aGrE (Full version 1H17M)

'인문학으로 배우는 재미있는 영단어 이야기' 전자책 구매 가능 합니다.

크몽 : https://kmong.com/self-marketing/332619/zfFQ8QWKnQ

'칼퇴를 부르는 섬유인 벤더인 원단실무서' 전자책 + 강의 구매 가능 합니다.

크몽 : https://kmong.com/self-marketing/361168/hirfjDD1Uf

원단실무 강의 10’ 미리보기 : https://youtu.be/t5LS6I7DoLU (Full version 2h12m)

성공하는 해외영업 취업, 면접, 코칭 상담

강의 및 개별 구매 또는 상담 문의 : Sheldonlee@kakao.com

↓↓ 다른 포스팅 보러가기 ↓↓

 

 

<섬유 무역> 봉제공장에 에어컨이 없는 이유

안녕하세요 Sheldon 입니다. 섬유무역 포스팅은 매주 금요일 update 됩니다. Let's get started! 최근 좀 바쁜일들이 생겨서 업데이트가 조금 늦었습니다. 양해말씀 부탁 드리며, 이번 포스팅을 시작해 보

sheldonlee.tistory.com

 

반응형